감사교회 - 생활나누기
 
    너희는 두려워 말고 가만히 서서 여호와께서 오늘날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출 14:13
     
 
  중*고등부
  유년주일학교
  사진자료실
  꽃꽂이 사진

562 , 1
주현계    2023-12-02 23:55:29   
주현계 말씀 묵상 124 13-19 거듭남은 이론이 아니라 삶의 실제입니다 231202

주현계 말씀 묵상 124 13-19 거듭남은 이론이 아니라 삶의 실제입니다. 231202

     

이름 : 주현계

     

제출날짜 ; 2023 / 12 / 02

     

제출내용의 단계별 반 ;13-19

     

읽은 필독 서적 책 명, 제목, 혹은 성쌓기 설교 제목;

거듭남은 이론이 아니라 삶의 실제입니다.

     

핵심 내용 요약

성령으로 거듭나면 삶에서 검증할 수 있는 변화가 일어난다.

1. 성령님(주님의 영)이 내주하셔서 주님이 내 안에 계심을 자각하게 된다.

2. 새로운 지각이 생긴다. 즉 하나님에 대한 신적인 지각이 생긴다.

3. 새로운 마음을 주신다. 이전에 없던 거룩한 마음을 주신다.

4. 죄를 미워하고 이기는 마음이 생긴다.

5. 항거할 수 없는 그리스도 안의 형제 사랑이 생긴다.

6.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발전을 위해 살고자 하는 자발적 마음이 생긴다.

7. 세상을 바라볼 때 예수님과 같은 심정을 갖게 된다.

     

지적 이해 정도 : (100%)

     

영적 마음, 삶에 적용 정도 : (100%)

     

느낀 점.

     

은혜를 받고 본문의 변화들이 즉시에, 그리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느낀다. 스스로 은혜안에 들어왔다고 느낀 뒤로 삶에서 내 믿음을 증명하려고 했었다. 내가 진짜 죄를 짓지 않는지, 형제 사랑이 있는지, 영혼에 대한 사랑이 있는지 증명하려고 했었다. 죽을 때까지 그것에 대한 증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음의 변화를 받은 뒤로 근본적인 마음의 상태에 대한 확신은 항상 있었던 것 같다. 성도들을 사랑하고 진리를 사랑하는 마음을 받았고 또 항상 감사하고 기뻐할 수 있는 능력을 받았다. 그 마음은 시간이 지나도 변함이 없었고 점점 더 커졌던 것 같다.

     

마음의 변화가 확실하다면 진짜 싸움은 내가 그렇게 행동할 수 있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은혜를 받고 결혼생활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결혼생활에 자신이 있었다. 아내에 대한 마음은 항상 자신이 있었다. 아내를 나보다 낫게 여기고 내 목숨보다 더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에 결혼생활이 순탄하게 잘 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막상 실제 삶에서 어려움이 많이 있었다.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도 그것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지 고민하고 계획하고 실천하지 않는다면 상대방에게는 없는 것과 다름없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었다. 어쩌면 큰 마음과 장대한 계획보다 작은 실천 하나가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실제 결혼생활을 통해서 체험한 것 같다.

     

지금은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해서 조금은 성장을 했다. 사랑하는 마음을 어떻게 실천할지 계획하고 행동으로 옴기는 빈도가 높아진 것 같다.

     

거듭난 사람으로서 내가 은혜 안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삶을 살겠다.

    





이은성 : 2023/12/03    

아멘! 풍성한 열매가 맺히게 되시길 소망합니다!


이시형 : 2023/12/03    

아멘! 저도 작은 일부터 열심히 실천하겠습니다!


이명숙 : 2023/12/04    

아멘~ 감사합니다!


박소현 : 2023/12/05    

아멘~! 실천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귀한 묵상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용환 : 2023/12/06    

아멘. 열매로 증명하게 하는 삶을 살겠습니다.


권소용 : 2023/12/26    

아멘! 지헤로운 묵상 감사합니다!


Next   주현계 말씀 묵상 125 13-20 사랑의 파도가 밀물처럼 231212 [5] 주현계
Prev   정상훈 말씀묵상104 13-2반 『거룩한 구원』 10장 위대한 거듭남의 은혜(2) 231130 [6] 정상훈